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정부 정책

(120가지)정부지원금 & 복지정책(카테고리별)(2부): 63번~120번

by 패가망신 2025. 9. 14.
반응형

(120가지)정부지원금 & 복지정책(카테고리별)(2부): 63번~120번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정부지원금과 복지정책에 대한 글을 쓰다 보니

 

듣도보도 못한 정책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아는 게 힘'이라는 말처럼

 

속된 말로 아는 사람만  찾아 먹고,

 

모르는 사람은 알지도 못한 채

 

지나가고 있다.

 

 

그래서

 

도대체 얼마나 많은 지원 정책들이 있을까

 

궁금해서

 

여기저기 찾아보니 무려 100가지가 넘었다.

 

100가지가 ...

 

 

 

까무라칠 뻔 했다!!

 

 

 

이 중 내가 알고 있는 것은

 

 

 

 

 

 

 

 

 

 

거의 없었다!!!

 

 

 

 

 

 

 

'이렇게 무지했다니!'

 

반성하고 또 반성했다.

 

 

 

정부에서 아무리 지원해 주려 해도

 

당사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지원해 줄 수 없다.

 

 

 

안 되겠다 싶어서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각종 '정부지원금과 복지정책'

 

여기 저기 뒤져가며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줘야겠다는 생각에

 

각종 복지정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하기로 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지인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는 못해도

 

이런 국가 지원 정책을 통해

 

필요한 도움 받을 수 있도록 말이다.

 

 

 

일단 각종 지원 정책들의 이름 개념만 

 

'카테고리 별'과 '가나다 순'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후

 

각 정책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 나가기로 했다.

 

 

 

한 정책에 대한 정리가 끝날 때마다

 

제목에 링크로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다만

 

각종 정책이 너무 많아

 

모든 정책을 정리하는데 시간이 꽤 걸릴 것 같다!

 

 

그래도 꾸준히 해 보련다.

 

나 하나의 작은 노력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으로...!

 

 

 

링크 되어 있지 않은 정책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미안하지만 별도의 검색을 통해 찾아 보기 바란다.

 

 

 

1.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모든 제도를 다 정리한 후 글을 올릴까 생각했지만,

 

   조금이라도 빨리 알려 주는 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서

 

   미완성인채로 올리기로 했으니,  이 점을 양해해 주면 좋겠다.

 

 

2. 처음에 찾은 정책이 총 109개였으나,

 

   정리하는 중 추가로 11개가 더 발견되어 정리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다. ㅋㅋ

 

 

3. (으~악~!!!)  2차 작업을 마쳤는데

 

    또다시 4개를 추가로 찾게 되었다.  미~쳐~~~~~

 

    처음부터 다시 정리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

 

 

    게다가 앞으로 아직 찾지 못한 정책과 새로 나오는 정책들도 있을 텐데 

 

    그때마다 다시 정리하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일단 추가분 4개는 (3부: 가나다 순) 하단에 별도로 정리하였으나,

 

    앞으로 추가분만 모아 (4부)로 정리해야할지도 모르겠다.

 

 

4. 시간이 지나면서 기한이 만료되는 정책도 있을 것이니 독자들은 이 점을 고려해 주면 좋겠다.

 

 

5.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분도,

 

   이런 정책들이 있다는 것을 주위에 알려 선한 영향력을 발휘해 주면 좋겠다.  

 

  선한 영향력을...

 


 

글은 총 3부로 나누어 작성했다.

 

1부와 2부는 '카테고리 별'로 다음과 같이 정리했으며

 

<1부>

1. 청년,청소년               2. 구직,고용,창업지원 

 3. 주거,생활안정           4. 가족,출산,육아   

5. 노인,장애,복지  영역                                          

                            

 

<2부>

 6. 의료,건강 지원           7. 교육,문화 지원

 8. 에너지,교통,환경        9. 금융,재정 지원         

10. 농어민,지역 지원      11. 기타,특수 지원 

 

 

3부는 

 

전체 정책을 카테고리와 관계없이

 

'가나다 순'으로 정리해서

 

독자들이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2부>

6️⃣ 의료·건강 지원

63.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제도

임신 중 합병증이 발생한 임산부에게 진료비 지원.

특정 질환에 대해 소득 기준 충족 시 비용 보조.

 

64. 긴급복지지원 제도

실직·질병 등 위기 상황에 처한 가구에 생계비·의료비 긴급 지원.

일정 기간 단기적으로 지급되며, 위기 사유 확인 필요.

 

65.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제도

체외수정·인공수정 등 난임 시술 비용 일부 지원.

소득·연령 조건에 따라 횟수와 지원 금액 차등.

 

66. 본인부담 상한제 환급금

연간 본인부담 의료비가 기준액을 초과하면 초과분 환급.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누구나 혜택 가능.

 

67. 암환자 의료비 지원 제도

저소득층 암환자 치료비 일부를 국가가 부담.

소득 기준과 질환 유형에 따라 지원 금액 달라짐.

 

63. 영유아 필수 예방접종 무료 지원

국가필수예방접종 비용 전액 지원.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 가능.

 

69. 의료급여 제도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진료비 지원.

1·2종으로 구분되며, 본인부담금이 매우 낮음.

 

70. 의료비환급 병원비환급

과다하게 부담한 병원비를 일정 기준에 따라 돌려주는 제도

본인부담 상한액 초과분 등을 환급해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임

 

71.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 제도

고액 치료비가 필요한 환자에게 약제비·치료비 일부 지원.

본인부담금을 낮춰 경제적 부담 완화.

 

 

7️⃣ 교육·문화 지원

72. 국가장학금 제도

소득분위별로 대학생 등록금을 차등 지원.

저소득층 우선, 성적 기준 일부 적용.

 

73. 다자녀 가구 교육비 감면 제도

세 자녀 이상 가구의 대학 등록금 일부 감면.

교통·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병행 제공.

 

74. 대학생 근로장학금 제도

소득이 낮은 대학생에게 교내·교외 근로 기회 제공.

근로시간에 따라 장학금 지급.

 

75. 문화누리카드 지원 제도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에 연간 문화바우처 제공.

공연, 영화, 도서, 여행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

 

76. 생활체육 바우처 지원 제도

저소득층 청소년·성인 대상 스포츠 강좌 이용권 지원.

건강 증진

 

77. 숙박세일 페스타

정부와 지자체가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해 숙박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행사

온라인 예약 시 1~3만 원 수준의 숙박비 할인을 받을 수 있음

 

78. 저소득층 문화예술 교육 지원 제도

아동·청소년 대상 예술·체육 교육비 지원.

문화격차 해소와 창의성 향상 목표.

 

79. 직장인 자기개발비 지원 제도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직장인의 직무능력 향상과 경력개발을 위해 교육·자격증 취득·세미나 비용 등을 지원하는 제도

일부는 복리후생 차원에서 운영되며, 고용노동부의 내일배움카드 등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병행 가능

 

80. 평생교육바우처 제도

저소득층·학습 취약계층에 연간 학습비 제공.

대학·학원·온라인 강좌 등 자유롭게 사용 가능.

 

81. 평생교육 희망사다리 장학금 제도

대학생·직장인 대상 자기개발 장학금 지급.

직무역량 강화와 경력 개발을 동시에 지원.

 

82. 평생직업능력개발 훈련비 지원

근로자·실업자 모두 직무 능력 훈련비 일부 국비 지원.

자격증, 어학 등 직무 관련 과정 참여 가능.

 

83.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제도

대학생·졸업생의 학자금 대출 이자 일부 지원.

지자체별로 상환 부담 완화 목적.

 

8️⃣ 에너지·교통·환경

84. 고령자 교통비 지원 제도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교통비 감면.

지하철 무료, 버스·철도 할인 혜택 제공.

 

85. 교통비·에너지 바우처 제도

저소득층 대상 대중교통비·난방·전기요금 지원.

계절·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 금액 차등.

 

86. 농어촌 교통비 지원 제도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농어촌 주민 대상.

버스·택시 이용 요금 일부 환급 또는 바우처 제공.

 

87. 노후주택 지원사업

낡고 열악한 주택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

지붕, 단열, 화장실·부엌 보수 등 개보수 비용을 정부와 지자체가 보조

 

88. 대중교통 환승할인 및 마일리지 제도

수도권 및 주요 도시에서 환승할인 제공.

마일리지 적립 후 환급 가능.

 

89. 소상공인 전기·가스요금 특별 감면 제도

경기침체·재난 상황 시 한시적 요금 감면.

업종과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

 

90. 시내버스 무상 교통 지원 제도

지자체별로 학생·어르신 무상 또는 할인 제공.

교통복지 확대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목적.

 

91. 에너지 효율 주택 개보수 지원

저소득층 주택에 단열재·창호 교체 비용 지원.

에너지 절감과 주거 환경 개선 목적.

 

92.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금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일부 금액 환급.

품목별 환급 한도 있으며 온라인 신청 가능.

 

93. 전기차·수소차 구매 보조금 제도

친환경 차량 구매 시 정부·지자체 보조금 지급.

차종별 보조금 상이하며 충전 인프라 연계 지원.

 

94. 주택 리모델링 지원 제도

노후 주택의 안전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수·단열·승강기 교체 등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

공공임대주택뿐만 아니라 지자체별 저소득층 집수리, 민간주택 그린리모델링 등으로 확대 운영됨

 

95. 취약계층 LED 조명 교체 지원 사업

에너지 효율화 위해 LED 조명 무상 교체.

전기요금 절감과 환경 보호 효과.

 

96. 취약계층 전기·가스 요금 감면 제도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다자녀가구 대상 요금 감면.

자동 감면 또는 신청 후 차감 방식.

 

97. 탄소중립 생활지원금

친환경 소비·설비 교체에 정부 지원금 지급.

전기차·태양광·고효율 가전 구입 지원.

 

98. 통신비 절감 지원 제도

저소득층, 차상위계층, 청년 등 통신 요금 감면.

기본료, 데이터 요금, 선택약정 할인 포함

 

 

9️⃣ 금융·재정 지원

99. ISA 계좌 세제 혜택 제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투자소득 절세 가능.

납입 한도 내 비과세·분리과세 혜택.

 

100. 긴급생계지원금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실직·폐업 등)으로 생계가 곤란한 가구에 단기 생활비 지원

현금 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되어 긴급한 생활 안정을 돕는 제도

 

101. 긴급 생계비 대출 제도

저소득·취약계층 대상 저금리 긴급 대출 지원.

단기 생활자금 목적, 상환 조건 완화.

 

102. 긴급 재난지원금 제도

감염병, 재난 시 전 국민 또는 피해계층에 지원.

지역사랑상품권, 현금, 선불카드 등 형태로 지급.

 

103.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경기 침체로 위축된 소비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한 할인·쿠폰 지원 정책

영화·체육·숙박·외식 등 분야별 소비쿠폰을 2차로 배포해 국민 생활비 절감과 내수 진작을 지원

 

104. 상생소비지원금/상생페이백

일정 기간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환급.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지급해 지역 상권 활성화.

 

105. 서민금융진흥원 맞춤형 금융 지원

저신용·저소득층 대상 햇살론, 사잇돌 대출 제공.

생활자금, 긴급생계비 대출 지원.

 

106.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발행되는 정책형 상품권 제도

지류·카드·모바일 형태로 제공되며 5~1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 가능

 

107. 지역사랑상품권 발행·할인 제도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화폐를 할인 판매.

지역 상권 활성화와 소비 촉진을 유도.

 

108. 취약계층 금융복지 상담 지원

채무 조정, 파산·회생 절차 상담 제공.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운영.

 

109.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화 제도

여러 카드사 포인트를 한 번에 조회 후 현금화 가능.

1포인트=1, 본인 계좌로 즉시 이체.

 

110. 한시 생계지원금 제도

재난·실직 등 위기 가구에 단기간 현금 지원.

소득·재산 기준 충족 시 지급.

 

🔟 농어민·지역 지원

111. 농민수당 제도

농업인의 기본소득 성격 지원금.

지역화폐로 지급돼 지역경제 선순환 유도.

 

112. 농어민 지원 정책

농민·어업인 대상 농자재·유류비 지원.

생활 안정과 농가 소득 보전 목적.

 

113. 농어업인 재해 지원금

자연재해 피해를 입은 농가·어가 긴급 지원.

농자재, 시설 복구비, 생활자금 지원.

 

114. 농지연금 제도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연금 수령.

안정적 노후 생활 보장.

 

1️⃣ 기타·특수 지원

115. 교원·교육공무원 맞춤형 복지포인트 제도

교원·교육공무원에게 연간 복지포인트 지급.

도서·여가·건강관리 등 사용처 다양.

 

116. 보육교직원 처우개선비 지원 제도

어린이집·유치원 교사에게 근속연수별 수당 지급.

 

117. 보훈대상자 생활 지원금 제도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에게 생활 지원금 지급.

의료비 감면, 취업 가산점 등 추가 혜택 포함.

보육 현장 근속 유도 및 처우 개선 목적.

 

118. 생활안전보험·시민안전보험 제도

지자체가 주민을 위해 자동 가입하는 무료 보험.

교통사고·재난사고 발생 시 보장.

 

119. 아동학대 예방 지원 사업

위기 아동 가정에 상담·치료·보호 서비스 제공.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연계해 지원.

 

120.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소득세 5년간 최대 90% 감면.

청년 고용 촉진과 근속 유도 목적.

 

 

<3부>

 

(120가지)정부 지원금 & 복지정책 (가나다 순)-청년,구직,생활안정,가족,의료 등 모든 정책!!!)

(120가지)정부 지원금 & 복지정책 총정리!(가나다순)-청년,구직,생활안정,가족,의료 등 모든 정책!!!)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정부지원금과 복지정책에 대한 글을 쓰다 보니 듣도보도 못한 정책들이

paegamangsin.com

 

<1부>

 

(120가지)정부지원금 & 복지정책 (카테고리별)(1부): 1번~62번

(120가지)정부지원금 & 복지정책 (카테고리별)(1부: 1번~62번)-청년,청소년,구직,고용,창업지원,주거,생활안정,가족,출산,육아,노인,장애,복지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정부지원금과 복지정책에 대한

paegamangsin.com

 

반응형